11월, 2025의 게시물 표시

데이터 자동 업데이트, '데이터 새로고침' 주기 설정하기

이미지
중요한 주간 회의 시간, 자신 있게 대시보드를 화면에 띄웠는데 "어? 이거 수치가 어제랑 똑같은데요?"라는 지적을 받고 식은땀을 흘렸던 경험이 있으신가요. 루커 스튜디오는 클라우드 기반이라 당연히 모든 데이터가 실시간으로 연동될 거라 생각하기 쉽지만, 설정을 제대로 만지지 않으면 우리는 12시간 전의 과거 데이터를 보고 의사결정을 내리는 치명적인 실수를 하게 됩니다. 오늘은 데이터의 유통기한을 관리하는 '새로고침 주기' 설정법과 실무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변수들에 대해 아주 상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실전] 유튜브 채널 성과 분석 대시보드 만들기 (유튜브 애널리틱스 연동)

이미지
유튜브 스튜디오에서 제공하는 기본 분석 기능도 훌륭하지만, 채널이 성장할수록 데이터의 한계에 부딪히는 순간이 반드시 찾아옵니다.  여러 채널을 동시에 운영하거나, 롱폼과 쇼츠 성과를 분리해서 심층 분석하고 싶을 때마다 탭을 오가며 엑셀에 데이터를 옮겨 적는 단순 노동을 반복하고 계시지는 않나요?  이번 포스팅에서 루커 스튜디오를 활용해 나만의 맞춤형 유튜브 성과 분석 대시보드를 구축하고, 데이터 노가다에서 탈출하는 방법을 상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함수] 날짜 데이터, 원하는 형식으로 자유자재로 바꾸는 DATE 함수 활용법

이미지
루커 스튜디오(구 데이터 스튜디오)로 보고서를 만들다 보면 가장 먼저 부딪히는 벽이 바로 날짜 데이터입니다.  엑셀에서는 분명 날짜였는데 루커 스튜디오에 연동만 하면 숫자로 인식되거나 텍스트로 깨져서 차트가 그려지지 않는 경험, 아마 다들 있으실 거예요.  이 골치 아픈 날짜 데이터를 내 입맛대로 요리할 수 있는 필수 함수들과 실전 활용법을 아주 상세하게 다뤄보겠습니다.

[함수] CONCAT, UPPER, LOWER 텍스트 함수로 데이터 가공하기

이미지
데이터 분석 작업의 80%는 데이터를 ‘분석’하는 시간이 아니라, 지저분한 데이터를 ‘정리(Cleaning)’하는 시간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이 말은 특히 루커 스튜디오로 보고서를 만들 때 뼈아프게 다가옵니다. 가장 흔한 예를 들어볼까요? 구글 애널리틱스(GA4)에서 가져온 소스/매체 데이터에 ‘google’, ‘Google’, ‘GOOGLE’이 모두 섞여있다고 상상해 보세요. 이 상태로 ‘채널 그룹’을 만들거나 필터를 걸면, 루커 스튜디오는 이 세 가지를 전부 다른 데이터로 집계합니다. 당연히 보고서의 신뢰도는 그냥 무너지는 순간입니다. 이때, 99%의 초보자분들이 저지르는 가장 치명적인 실수가 있습니다. 바로 원본인 구글 시트(Google Sheets) 파일을 직접 열어서, 이 값들을 ‘google’로 일일이 수정하는 것입니다. 이건 정말 최악의 방법입니다. 왜냐하면, 내일 새로운 데이터가 ‘GOOGLE’로 또 들어오면, 여러분은 내일도 똑같은 수작업을 반복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제가 겪어보니, 이런 수작업은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와 같았습니다.

데이터가 너무 많을 때? '선택적 측정항목'으로 보고서 다이어트하기

이미지
보고서를 만들다 보면, 사용자의 요구사항은 끝이 없습니다. “일별 매출 추이 차트를 만들어주세요.” 그래서 만들어주면, 다음날엔 “일별 광고 비용 추이도 같이 보고 싶어요.”라고 합니다. 그다음엔 “클릭수랑 전환율도 추가해 주세요.”라고 하는거 같아요. 이때, 99%의 초보자는 ‘차트 추가’ 버튼을 눌러, 기존 차트 밑에 새로운 차트를 계속해서 붙여 넣습니다. 1번 차트: 일별 매출액 2번 차트: 일별 광고 비용 3번 차트: 일별 클릭수 4번 차트: 일별 전환율 결과는 끔찍합니다. 보고서는 스크롤만 한참 내려야 하는 ‘긴 두루마리 휴지’가 되어버리고, 로딩 속도는 현저히 느려집니다. 결국 아무도 그 보고서를 보지 않게 되기도 해요. 제가 컨설팅하면서 본 가장 흔한 실패 사례입니다. 이 모든 문제를 단번에 해결하는 ‘선택적 측정항목(Optional Metrics)’ 기능에 대해 알려드릴게요. 4개의 차트를 단 1개의 차트로 합치는 기술입니다.

보고서 수준 vs 페이지 수준, 컴포넌트의 모든 것

이미지
루커 스튜디오로 5페이지짜리 멋진 보고서를 만들었다고 상상해 보세요. 1페이지 상단에 ‘기간 컨트롤 필터’를 완벽하게 배치했습니다. 이제 2페이지, 3페이지에도 똑같은 기간 필터가 필요하겠죠. 이때, 여러분은 혹시 1페이지의 기간 필터를 ‘복사(Ctrl+C)’해서 2페이지에 ‘붙여넣기(Ctrl+V)’ 하고 있지는 않으신가요? 만약 그렇다면, 여러분은 이미 가장 치명적인 함정에 빠진 것입니다. 제가 수많은 보고서를 검토해봤지만, 이것만큼 비효율적이고 아마추어적인 실수는 없습니다. 왜냐하면, 그건 ‘똑같이 생긴 5개의 별개 필터’를 만든 것일 뿐, ‘하나의 필터’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나중에 상사가 “기간을 지난달로 바꿔서 봅시다”라고 했을 때, 여러분은 1페이지부터 5페이지까지 일일이 방문하며 5개의 필터를 모두 바꿔야 하는 끔찍한 상황을 맞이하게 될 거예요. 이 모든 재앙을 막아줄, 루커 스튜디오의 가장 근본적인 개념인 ‘컴포넌트 수준’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대한민국 지도 위에 데이터를! 'Google 지도' 차트 활용법

이미지
루커 스튜디오로 보고서를 만들 때, ‘지역별 매출’ 데이터를 보여주기 위해 지도 차트를 쓰는 것만큼 멋진 것도 없어요. 하지만 제가 수많은 대시보드를 만들어본 경험상, 이 기능은 초보자가 100% 실패하는 기능이기도 합니다. ‘서울’이라고 입력했는데 지도가 아프리카 바다 한가운데를 가리키는 황당한 경험, 다들 한 번쯤 있으실 거예요. 오늘은 단순히 지도 차트를 추가하는 방법을 넘어, 왜 그런 오류가 나는지, 그리고 대한민국 지도 위에 데이터를 정확하게 찍기 위한 전문가들의 데이터 처리 비결은 무엇인지, 저의 경험을 바탕으로 솔직하게 알려드릴게요.

클릭하면 데이터가 변한다! '드릴다운' 기능으로 상세 데이터 파헤치기

이미지
루커 스튜디오로 보고서를 만들었을 때, 혹시 '기간 필터', '채널 필터', '상품 카테고리 필터' 등 수많은 드롭다운 목록 상자들로 화면 상단이 지저분해지지는 않았나요? 이건 보고서를 처음 만드는 분들이 가장 많이 빠지는 함정입니다. 사용자에게 너무 많은 '선택지'를 던져주는 거죠. 보는 사람은 무엇부터 눌러야 할지 몰라 혼란스럽고, 결국 그 보고서는 '정적인 그림'으로 전락하고 맙니다. 진짜 전문적인 대시보드는 필터 컨트롤이 덕지덕지 붙어있는 보고서가 아닙니다. 차트 그 자체가 필터가 되는 보고서입니다. 사용자가 '매출 비중' 원형 차트에서 '전자제품' 카테고리를 클릭하는 순간, 페이지의 다른 모든 차트가 '전자제품'에 대한 상세 데이터로 바뀌는 것. 이것이 바로 '드릴다운', 정확히는 '교차 필터링(Cross-filtering)'이라고 불리는 기능의 핵심입니다. 오늘은 이 기능을 어떻게 제대로 활용하는지 알려드릴게요!

보고서를 더욱 깔끔하게! '페이지' 기능으로 주제별 리포트 분리하기

이미지
루커 스튜디오로 보고서를 만들 때, 제가 초보 시절에 정말 많이 했던 실수가 하나 있어요. 바로 ‘한 페이지’에 모든 것을 다 담으려는 욕심입니다. 총매출 스코어카드, 광고 성과 그래프, GA4 유입 경로 표... 이 모든 것을 한 페이지에 욱여넣으면 스크롤만 한참 내려야 하는 보고서가 탄생합니다. 보는 사람도 지치고, 어디서부터 뭘 봐야 할지 길을 잃게 됩니다. 그건 ‘대시보드’가 아니라, 그저 차트를 모아둔 ‘창고’일 뿐이에요. 오늘은 이런 아마추어 같은 실수를 단번에 해결하고, 여러분의 보고서를 ‘전문가의 작품’처럼 깔끔하게 바꿔줄 ‘페이지 분리’ 전략에 대해 알려드릴게요.

[실전] 쇼핑몰 사장님을 위한 매출 및 광고 성과 대시보드 만들기

이미지
쇼핑몰을 운영하시면서, 매일 아침 광고 관리자 페이지와 쇼핑몰 관리자 페이지를 따로따로 열어보시지 않나요? 페이스북 광고비는 5만 원을 썼는데, 쇼핑몰 총매출은 50만 원이 나왔을 때... ‘그래서 저 광고가 정말 50만 원어치 매출을 가져온 게 맞나?’ 하는 의문이 항상 남게 되죠. 데이터가 서로 다른 곳에 흩어져 있으니, 광고비 대비 매출(ROAS)을 정확히 파악하기가 너무 힘듭니다. 오늘은 이렇게 흩어져 있는 ‘광고 데이터’와 ‘매출 데이터’를 루커 스튜디오에서 하나로 합쳐, ‘그래서 오늘 얼마를 써서 얼마를 벌었는지’ 한눈에 보여주는 사장님 전용 대시보드를 만들어 보겠습니다.

[실전] 블로그 운영자를 위한 구글 서치콘솔 & GA4 연동 대시보드 만들기

이미지
블로그를 운영하다 보면 매일 두 개의 창을 번갈아 보게 돼요. ‘어떤 키워드로 내 글을 발견했지?’가 궁금할 땐 구글 서치콘솔(GSC)을, ‘그렇게 들어온 사람들이 얼마나 오래 머물렀지?’가 궁금할 땐 구글 애널리틱스(GA4)를 열어보죠. 하지만 이 두 데이터가 따로 노는 탓에, ‘정작 돈 되는 키워드’나 ‘효자 포스팅’이 무엇인지 한눈에 파악하기가 정말 어려워요. 오늘은 루커 스튜디오의 ‘데이터 혼합(Blend Data)’ 기능을 활용해서, 이 두 개의 강력한 데이터를 하나로 합쳐, 블로그 방문자의 전체 여정을 보여주는 강력한 대시보드를 만들어 볼 거예요.

[실전] IF / CASE 함수를 활용해 데이터 카테고리(그룹) 만들기

이미지
데이터 보고서를 만들다 보면, 원본 데이터가 우리가 원하는 만큼 깔끔하지 않아서 애먹을 때가 많아요. 특히 구글 애널리틱스(GA4)의 ‘소스/매체’ 데이터는 ‘google / cpc’, ‘naver / cpc’, ‘facebook / cpc’, ‘google / organic’ 처럼 너무 세세하게 쪼개져 있어서, 한눈에 성과를 파악하기가 정말 어려워요. 이럴 때, 이 지저분한 데이터들을 ‘유료 검색’, ‘자연 검색’, ‘소셜 미디어’ 처럼 의미 있는 큰 그룹으로 묶어주는 작업이 꼭 필요합니다. 오늘은 엑셀에서 수동으로 작업하던 이 그룹화 작업을, 루커 스튜디오의 ‘계산된 필드’ 기능, 그중에서도 IF 함수와 CASE 함수를 활용해 자동으로 처리하는 방법을 알려드릴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