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전] 쇼핑몰 사장님을 위한 매출 및 광고 성과 대시보드 만들기


쇼핑몰을 운영하시면서, 매일 아침 광고 관리자 페이지와 쇼핑몰 관리자 페이지를 따로따로 열어보시지 않나요? 페이스북 광고비는 5만 원을 썼는데, 쇼핑몰 총매출은 50만 원이 나왔을 때... ‘그래서 저 광고가 정말 50만 원어치 매출을 가져온 게 맞나?’ 하는 의문이 항상 남게 되죠.

데이터가 서로 다른 곳에 흩어져 있으니, 광고비 대비 매출(ROAS)을 정확히 파악하기가 너무 힘듭니다.

오늘은 이렇게 흩어져 있는 ‘광고 데이터’와 ‘매출 데이터’를 루커 스튜디오에서 하나로 합쳐, ‘그래서 오늘 얼마를 써서 얼마를 벌었는지’ 한눈에 보여주는 사장님 전용 대시보드를 만들어 보겠습니다.

쇼1



1. 우리가 만들 대시보드의 최종 목표


우리의 목표는 엑셀 VLOOKUP처럼 수동으로 작업하던 것을 자동화하는 거예요.


  • 광고 데이터: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네이버, 구글 등 모든 채널의 일별 광고비, 클릭수
  • 매출 데이터: 내 쇼핑몰(카페24, 스마트스토어 등)의 일별 총매출액, 주문 건수


이 두 개의 다른 데이터를 ‘날짜’라는 공통의 열쇠로 연결해서, ‘일별 광고비 총합’, ‘일별 매출 총합’, 그리고 가장 중요한 ‘일별 ROAS(광고수익률)’를 하나의 차트에서 보는 것이 최종 목표입니다.



2. 1단계: 재료 준비하기 (데이터 소스 만들기)


이 과정이 조금 번거로울 수 있지만, 가장 중요하고 기본이 되는 작업이에요. 우리는 두 개의 구글 시트 파일을 재료로 준비할 겁니다.


  • 재료 하나: ‘광고비 통합 시트’ 만들기

1. 구글 드라이브에서 새 구글 시트 파일을 하나 열고, 파일 이름을 ‘광고비 통합 데이터’라고 지어주세요.

2. 시트 안에 날짜, 채널, 광고비, 클릭수 이렇게 4개의 열을 만듭니다.

3. 조금 수동적인 작업이 필요해요. 매일, 혹은 며칠에 한 번씩 각 광고 관리자(페이스북, 네이버 등)에서 일별 데이터를 확인하고 이 시트에 직접 입력하거나 복사-붙여넣기 해줍니다.


  • 예시:
    • 2025-10-01 / 페이스북 / 50000 / 100
    • 2025-10-01 / 네이버 / 30000 / 80
    • 2025-10-02 / 페이스북 / 55000 / 110
    • 2025-10-02 / 네이버 / 30000 / 85


  • (팁: 슈퍼메트릭스 같은 유료 자동화 툴을 쓰면 이 과정이 자동화되지만, 우선은 수동으로 시작해도 괜찮습니다.)


  • 재료 둘: ‘매출 데이터 시트’ 만들기

1. 새 구글 시트 파일을 하나 더 열고, 파일 이름을 ‘매출 데이터’라고 지어주세요.

2. 시트 안에 날짜, 총매출액, 주문 건수 이렇게 3개의 열을 만듭니다.

3. 쇼핑몰 관리자(카페24, 스마트스토어 등)에서 일별 매출 데이터를 확인하고, 여기에 매일 요약해서 입력합니다.

  • 예시:
    • 2025-10-01 / 850000 / 30
    • 2025-10-02 / 920000 / 35

  • 중요!: 두 시트의 ‘날짜’ 열 형식이 반드시 똑같아야 해요. (예: YYYY-MM-DD로 통일)


쇼2


3. 2단계: 재료 연결하고 합치기 (데이터 혼합)


이제 이 두 개의 구글 시트를 루커 스튜디오로 가져와서 하나로 합칠 차례예요.


1. 루커 스튜디오에서 새 보고서를 열어주세요.

2. ‘데이터 추가’를 눌러 ‘Google Sheets’를 선택하고, 우리가 만든 ‘광고비 통합 데이터’ 시트를 연결합니다.

3. 다시 ‘데이터 추가’를 눌러 ‘Google Sheets’를 선택하고, ‘매출 데이터’ 시트도 연결합니다. (이제 보고서에 두 개의 재료가 모두 들어왔어요.)

4. 이제 두 데이터를 합쳐야 해요. 상단 메뉴에서 **‘리소스’ > ‘혼합 관리’**로 이동한 뒤, ‘혼합 추가’를 누릅니다.

5. 데이터 혼합 편집창이 열리면, 왼쪽(테이블 1)과 오른쪽(테이블 2)에 각각 데이터를 추가합니다.

6. 왼쪽 (테이블 1) 설정:

  • 데이터 소스: ‘광고비 통합 데이터’를 선택합니다.
  • 조인 키 (Join Key): ‘날짜’를 선택합니다. (이게 공통의 열쇠예요)
  • 측정항목: ‘광고비’, ‘클릭수’를 추가합니다.

7. 오른쪽 (테이블 2) 설정:

  • 데이터 소스: ‘매출 데이터’를 선택합니다.
  • 조인 키 (Join Key): ‘날짜’를 선택합니다.
  • 측정항목: ‘총매출액’, ‘주문 건수’를 추가합니다.

8. 조인 구성 설정:

  • 조인 유형: ‘전체 외부 조인(Full Outer Join)’을 선택합니다. (혹시 광고는 했는데 매출이 없거나, 매출은 있는데 광고를 쉰 날도 모두 표시하기 위해서예요.)
  • 조인 조건: 날짜 = 날짜로 잘 설정되었는지 확인합니다.

9. ‘저장’ 버튼을 누릅니다. 이제 ‘혼합 데이터 1’이라는, 두 데이터가 합쳐진 새로운 데이터 덩어리가 만들어졌습니다.



4. 3단계: 가장 중요한 지표 ‘ROAS’ 만들기 (계산된 필드)


우리가 합친 ‘혼합 데이터 1’에는 ‘광고비’와 ‘총매출액’이 같이 들어있지만, 정작 제일 중요한 ‘ROAS(광고수익률)’는 아직 없어요. 이걸 ‘계산된 필드’ 기능으로 직접 만들어야 합니다.


1. 방금 만든 ‘혼합 데이터 1’을 수정하기 위해 다시 ‘리소스’ > ‘혼합 관리’로 들어가서, 만들어둔 혼합 데이터의 ‘수정’을 누릅니다.

2. 혼합 편집창의 오른쪽(테이블 2) 아래를 보면, 파란색 글씨로 ‘+ 측정항목 추가’와 ‘+ 측정기준 추가’가 아닌, **‘+ 필드 추가’**가 보일 거예요. (이건 혼합 데이터에만 있는 기능입니다.)

3. ‘+ 필드 추가’를 클릭합니다.

4. ‘계산된 필드’ 만들기 창이 열리면, 아래와 같이 입력합니다.

  • 필드 이름: ROAS (%)
  • 수식: (총매출액 / 광고비) * 100
  • 수식 입력이 끝나면, 아래 ‘유형’을 ‘숫자(Number)’ > ‘퍼센트(Percent)’로 꼭 변경해주세요.

5. ‘저장’을 누릅니다.

6. (선택 사항) 같은 방식으로 ‘CPA(주문당 비용)’도 만들 수 있습니다.

  • 필드 이름: CPA
  • 수식: 광고비 / 주문 건수
  • 유형: 숫자 > 통화 > 원화(KRW)



5. 4단계: 대시보드 완성하기 (차트 배치)


모든 재료 준비와 손질이 끝났습니다. 이제 그릇에 예쁘게 담기만 하면 돼요.


1.  보고서 편집 화면으로 돌아와서 ‘차트 추가’ > ‘표’를 선택합니다.

2. 표를 캔버스에 추가한 뒤, 표의 ‘데이터 소스’를 클릭해서 우리가 방금 만든 **‘혼합 데이터 1’**을 선택합니다.

3. 이제 오른쪽 데이터 패널에서, 우리가 만든 모든 지표를 마음껏 사용할 수 있습니다.

4. 스코어카드 추가 (핵심 지표):

  • ‘차트 추가’ > ‘스코어카드’를 4개 추가합니다.
  • 각각의 측정항목을 ‘총매출액’, ‘광고비’, ‘ROAS (%)’, ‘주문 건수’로 설정합니다.


5. 시계열 차트 추가 (일별 추이):


  • ‘차트 추가’ > ‘시계열 차트’를 추가합니다.
  • 측정기준: ‘날짜’
  • 측정항목: ‘총매출액’, ‘광고비’를 함께 넣어보세요. 매출과 광고비 그래프가 어떻게 움직이는지 한눈에 볼 수 있습니다.
  • (다른 차트): ‘ROAS (%)’만 따로 시계열 차트로 만들어서 일별 수익률 추이를 볼 수도 있습니다.


6. 기간 컨트롤 추가 (필수):


  • ‘컨트롤 추가’ > ‘기간 컨트롤’을 보고서 상단에 배치합니다.
  • 이제 ‘이번 달’, ‘지난 7일’ 등 원하는 기간을 선택하면, 모든 차트가 해당 기간의 데이터만 보여주게 됩니다.



이제 여러분은 더 이상 여러 개의 관리자 페이지를 오가지 않아도 됩니다. 이 루커 스튜디오 대시보드 하나만 열면, 오늘 광고비가 얼마가 나갔고, 매출이 얼마가 발생했으며, 그래서 ROAS가 몇 %인지 즉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쇼3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실습] 구글 스프레드시트(Google Sheets) 데이터 연결하는 가장 쉬운 방법

가장 먼저 익혀야 할 핵심 인터페이스 완벽 분석 (편집기 화면)

두 개의 다른 데이터를 하나처럼! '데이터 혼합(Blend)' 기능 활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