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수해도 괜찮아! 루커 스튜디오 버전 기록 및 되돌리기 기능


중요한 회의를 앞두고 보고서를 마지막으로 다듬다가, 실수로 핵심 차트 하나를 통째로 날려버린 경험 있으신가요? 혹은 야심 차게 레이아웃을 바꿨는데, 이전보다 훨씬 더 복잡하고 보기 싫어져서 차라리 아무것도 건드리지 말 걸 하고 후회했던 순간은요?


누구나 이런 실수를 할 수 있어요. 하지만 중요한 건 실수를 했을 때, 당황하지 않고 이전 상태로 되돌릴 수 있는 방법이 있느냐 하는 것이죠. 다행히도 루커 스튜디오에는 마치 타임머신처럼 보고서의 과거로 돌아갈 수 있는 아주 든든한 안전장치, ‘버전 기록(Version history)’ 기능이 있습니다.


오늘은 이 버전 기록 기능이 정확히 무엇인지, 그리고 어떻게 사용해야 실수에 대한 두려움 없이 자신감 있게 보고서를 만들 수 있는지 그 모든 방법을 알려드릴게요!



1. 버전 기록, 왜 그렇게 중요할까요?


버전 기록 기능은 단순히 실수를 되돌리는 ‘Ctrl+Z’의 확장판이 아니에요. 이 기능 하나만 잘 알고 있어도 보고서를 만드는 방식 자체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실수에 대한 완전한 해방: 가장 큰 장점이죠. 보고서를 어떻게 망가뜨리더라도, 언제나 건강했던 과거의 버전으로 돌아갈 수 있다는 믿음이 생겨요. ‘이 버튼 눌러도 괜찮을까?’ 하는 두려움 없이, 마음껏 새로운 시도를 해볼 수 있게 됩니다.
  • 자유로운 실험의 장: ‘이 차트 대신 다른 차트를 넣어볼까?’, ‘테마를 완전히 바꿔볼까?’ 같은 창의적인 실험을 마음껏 할 수 있어요. 시도해보고 마음에 들지 않으면 그냥 몇 분 전의 버전으로 돌아가면 그만이니까요. 이를 통해 보고서의 퀄리티를 훨씬 더 높일 수 있습니다.
  • 협업의 투명성 확보: 여러 사람이 함께 하나의 보고서를 만들 때, 누가 언제 어떤 부분을 수정했는지 모든 기록이 시간 순서대로 남아요. 만약 보고서에 문제가 생겼을 때, 원인을 빠르게 파악하고 해당 변경 사항 이전으로 되돌리는 등 훨씬 더 체계적인 협업이 가능해집니다.

버전1



2. 타임머신 탑승하기: 버전 기록 사용법 (단계별 안내)


그럼 이제 직접 타임머신을 타고 과거로 돌아가 볼까요? 사용법은 아주 간단해요.


1. 버전 기록 메뉴 찾아가기

루커 스튜디오 편집 화면 왼쪽 맨 위에 있는 ‘파일(File)’ 메뉴를 클릭하세요. 그리고 아래로 펼쳐지는 메뉴 중에서 ‘버전 기록(Version history)’을 찾은 다음, 그 옆에 있는 ‘버전 기록 보기(See version history)’를 클릭하면 됩니다.


2. 과거 버전 목록 탐색하기

메뉴를 클릭하면, 화면 오른쪽에 새로운 패널이 나타날 거예요. 이 패널에는 지금까지 루커 스튜디오가 자동으로 저장해둔 보고서의 과거 버전들이 시간 순서대로 쭉 나열되어 있습니다. ‘오늘, 오후 3:15’ 처럼 시간과 날짜가 표시되어 있어서, 언제쯤의 버전으로 돌아가고 싶은지 쉽게 짐작할 수 있어요.


3. 과거 버전 미리보기

오른쪽 패널에 있는 특정 시간대의 버전을 한번 클릭해보세요. 그러면 현재 캔버스의 모습이 내가 선택한 그 과거 시점의 보고서 상태로 임시 변경되는 것을 볼 수 있어요. 이걸 ‘미리보기’라고 생각하시면 돼요. 여러 버전을 클릭해보면서 내가 돌아가고 싶은 완벽한 시점을 찾을 수 있습니다.


4. 과거로 완벽하게 되돌리기

“아, 바로 이 버전이야!” 하고 원하는 과거의 모습을 찾았다면, 오른쪽 패널의 위쪽에 있는 파란색 ‘이 버전 복원(Restore this version)’ 버튼을 눌러주세요. 그러면 ‘이 버전으로 복원하시겠습니까?’ 하고 한번 더 물어볼 텐데, ‘복원’을 누르면 현재 보고서가 내가 선택한 과거의 모습으로 완전히 되돌아갑니다.


버전2



3. 더 똑똑한 관리법: 나만의 버전 이름 붙이기


루커 스튜디오가 자동으로 저장해주는 기록은 ‘오후 3:15’ 처럼 시간만 표시되기 때문에, 나중에 보면 저 시간이 정확히 어떤 작업을 했던 시점인지 기억하기 어려울 수 있어요. 그래서 중요한 작업을 끝냈을 때는 그 버전에 직접 ‘이름’을 붙여주는 습관을 들이면 정말 편리해요.


  • 버전 이름은 어떻게 붙이나요?
    • ‘파일(File)’ > ‘버전 기록(Version history)’ 메뉴로 들어가는 것까지는 똑같아요. 이번에는 ‘버전 기록 보기’ 대신, 그 바로 아래에 있는 ‘현재 버전 이름 지정(Name current version)’을 클릭하세요.
    • 그럼 버전에 대한 이름을 입력하는 작은 창이 나타나요.


  • 어떤 이름을 붙이면 좋을까요?

그냥 날짜를 적는 것보다는, 내가 ‘어떤 중요한 작업’을 마쳤는지 구체적으로 적어두는 것이 좋아요.

    • 예시 1: ‘영업팀 요청사항 반영 전’
    • 예시 2: ‘월간 보고서 1차 초안 완성’
    • 예시 3: ‘메인 컬러 테마 변경 완료’


이렇게 의미 있는 이름을 붙여두면, 나중에 수많은 자동 저장 기록들 사이에서 내가 원하는 핵심 버전을 한 번에 찾아낼 수 있습니다. 중요한 변경을 하기 전과 후에 각각 버전을 저장해두는 습관은 여러분의 소중한 작업 시간을 지켜주는 최고의 보험이 될 거예요.


버전3


실수는 더 이상 두려움의 대상이 아니에요. 루커 스튜디오의 버전 기록 기능은 우리에게 마음껏 시도하고, 실패하고, 또다시 도전할 수 있는 자유를 줍니다. 

지금 바로 여러분이 만들었던 보고서 중 하나를 열고, 버전 기록 메뉴에 한번 들어가 보세요. 여러분도 모르는 사이에 든든하게 쌓여있는 과거의 기록들을 확인하며 자신감을 얻으실 수 있을 거예요 :)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실습] 구글 스프레드시트(Google Sheets) 데이터 연결하는 가장 쉬운 방법

가장 먼저 익혀야 할 핵심 인터페이스 완벽 분석 (편집기 화면)

두 개의 다른 데이터를 하나처럼! '데이터 혼합(Blend)' 기능 활용법